이명을 치료하는 것은 단순히 귀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뇌의 청각 경로를 치료하는 것입니다.
청각 회로, 커넥톰, 시냅스 성형
본원이 가장 관심 가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 이명은 청각 시냅스
(신경 세포 간의 연결 부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명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뇌의 청각 회로와 시냅스 성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커넥톰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커넥톰 : Connectome
뉴런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지도
커넥토믹스(connectomics)란?
커넥토믹스는 뇌 속 모든 뉴런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려는 연구 분야입니다.
이는 뉴런의 연결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며, 뇌 연결망
(Brain network: 뉴런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경로)
을 통해 뇌 질환의 원인과 기전을
밝혀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뇌를 전자 제품의 회로도처럼 완전히 파악할 수 있다면,
고장 난 부분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시작된 연구입니다.
과학자들은 더 작고 더 정밀한 수준으로
뇌 구조를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시냅스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뇌 연결성 연구의 발전
20세기 중반, 펜필드는 호문쿨루스 뇌 지도(Homunculus brain map: 뇌의 특정 부위가
신체의 어느 부위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지도)
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2000년대에 이르러 모든 뉴런의 연결성을 밝혀
종합적인 뇌 지도를 작성하려는 목표로
커넥토믹스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커넥톰은 지문처럼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뇌 속 뉴런들의 연결 상태를 기반으로
다양한 질병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줍니다.
확산 텐서 영상기술을 통해 뇌의 백질 신경망
(White matter network :
뇌 속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 섬유의 집합체)을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뇌 부위 간의 연결 상태를 분석하고,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기술은 거시적으로 뇌의 연결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신경망의 병리적 변화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쁜꼬마선충(C.elegans)과
커넥톰 연구
▲ 예쁜꼬마선충
사진출저 : 위키피디아
가장 작은 유기체인 *예쁜꼬마선충(C.elegans)*은
약 300개의 뉴런과 7,000개의 시냅스 연결을
가지고 있으며, 신경망 연구에 주로 사용됩니다.
1.5mm 크기의 이 유기체는 뇌의 연결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예쁜꼬마선충의 뇌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
기술 중 하나는 3D 전자현미경 입니다.
이 기술은 얇게 자른 뇌 단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시냅스 수준의 연결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연구자들은 뉴런 간의 미세한 연결까지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포유류 및 인간의 커넥톰 연구
2014년에는 쥐의 커넥톰 지도가 발표되었고,
이후 포유류와 인간으로 연구가 확장되었습니다.
그러나 쥐의 커넥톰이 완성되는 데에도
약 2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인간 뇌의 경우는 그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합니다.
인간의 뇌는 쥐보다 약 2,000배 더 크기 때문에,
전자현미경을 통한 이미징은 매우 어려운 과제입니다.
특히, 빅 데이터 처리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연구는 실현 가능성이 낮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MRI의 공간 해상도는
밀리미터(mm) 단위이지만,
전자현미경의 해상도는 나노미터(nm) 단위입니다.
이 두 해상도 사이의 중간 단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합니다.
인간 대뇌 피질 지도
청색은 위아래, 녹색은 앞뒤,
적색은 좌 우의 연결 방향을 나타냅니다.
2016년, 인간 대뇌 피질을 좌우 각각 180개의 구획
으로 나눈 정밀한 뇌 지도가 발표되었습니다.
대뇌 피질은 인지, 문제 해결, 의식적 사고를
담당하는 부위입니다.
연구자들은 MRI와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기술을 통해 대뇌 피질의 구조와 기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이 데이터는 대뇌 피질이
담당하는 영역 간의 연결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머신러닝과 같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별 대뇌 피질의 구조적 특성을 보정하고,
각 구획의 기능과 연결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커넥톰의 장점과 신경망 연결 장애
뇌 질환의 대부분은 특정 뇌 부위의
기능적 손상이나 신경망 연결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자폐증은 피곡과 전대상 피질간의
연결 문제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조현병에서는 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간의
연결망이 약해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신경망 연결 장애를 분석하는 데
커넥톰 연구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인간 뇌 배선도를 상호 비교하면
각기 다른 질병 메커니즘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결론
커넥톰 연구는 뇌의 연결망을 분석하여
뇌 질환의 원인을 밝히고, 맞춤형 치료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명과 같은 청각 신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의 신경망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법을 개발하고,
뇌 질환을 더 정밀하게 치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명 치료※ > 치료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난청 치료병원 (2) | 2024.11.15 |
---|---|
머리에 침 [두침] (0) | 2024.11.11 |
치료명상 7가지팁 (3) | 2024.11.11 |
식이 보조제 마법의 알약 (0) | 2024.11.11 |
나에게 맞는 9가지 명상법 (5) | 2024.11.09 |